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nlDSPUlfj7NARTmeXZo1 wTVLpNlj/lgLahM/O7VCqfgEXDZ+YeWnxmLPrARf3bA32OYPm8CdsHPDMtODdKg3 hqYc9D2nDSvlo3Ee2p/sfCaF6j93B5pmjI3mLTz3kD6h4zCWrTLkMqX4av7zILlg Ah3fg6E+NrTxURJQpPvk2REpe55KB55fFQf/KMflG+wil0THKhDEBDyzbOd9gIhW e2SUj06okVOUGSQkRwSA4o3CJ7KmDSEy6Az6XZw9gKhzYCa2r7S1IPKOsA2yzV3x AiohBtOeDVFE0zgZjY6zZSLMZ3QTsmHIBBU3/Gs+gNX4YtjeCIVI1Qb3lpSsSGpW kkWZGc8bvWCmeHrstWhoSTC3A7NN7tmEzAroUAqP9+WUHo342LGeXGoPfksL/twn 8Lu2++sYXDSCbNA/jswwb+XuR98S8Ohc+h/O80WiZVAy04yYR4oePdhaKlCTZY53 SOxw3MEAK+3SAob+xXCAC7vB3Hx4iThC7PqTaFIRjzjf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매 순간이 위급한 응급상황, 최선의 진료를 약속 드립니다.
응급실 내원 환자는 응급실로 직행하여 우선 진료를 받으며 보호자는 원무접수를 하여 예진 과정이 이루어 집니다.
예진 과정에서 환자의 과거 병력 및 현 증상, 소견 등을 참고하여 응급의학과 전문 진료 받게 됩니다.
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면서, 필요한 경우 진찰 및 검사, 처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.
필요에 따라 다른 전문 과목의 진료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담당의사는 해당과의 전문의와 협진을 합니다.
응급 진료 후 필요에 따라 수술, 입원 또는 퇴원 여부를 결정합니다.
급성질환 | 외래에서 진료할 수 없는 심폐소생 | 쇼크 | 중독분야 |
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이상 | 소생 후 증후군 | 독물학 | 중환자의학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