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4GkYSRFyOobmVw521iVl WvsP5fNJDqnVpE7GG90e6yFBvsxxLlOoWLKmw+0SuygLshmdSICIk3L/BLrXOLBM w9Em+ZvbxNeo/ISbVSPqSjlU4Ea29RvWeI180LSZAt7lPmBFpOfnGuFnGBv4v93p NtVflddt8NDWf73SHdB0panRtNhPNxRxqkuM/V0pEKxU1WKbcZFxtyWgJNbQUtnN q3wRFXmHS/K8+ze3MPib3+s2mMuhGFe0k3lUhv6zDltTxYTaTJbnhyQxEU8uIN8/ 1sDdaRqJAa8BbtAD0L6c7jSEi3lEO9QyfE9wzDnLZoWsIVDrvHz4oLHGy/KuKZnS QyUHceHTdgFP0uJ8DSSIaPXGPF3FcWQe4dP6MBNgt6QNxZGNCirjDBh+3xDuxGPv udVUr9XML0nE/BBLSEqgiHsOufc3jQuIpL8U6U7rZr2zw75SUSVGXKL4oa/X3js0 3hcdEJE0XulyvKRdByI3W/x4fM0Ew2H7H1IyntsMh2iJ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전문의가 직접운영하는, 다니엘병원 내과전문센터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01. 단백질 | 혈액투석시 단백질 섭취량은 투석 시 손실되는 아미노산량과 혈액량, 요독증에 의한 이화작용 증가량, 단백질 아미노산의 대사 및 흡수 변화 정도, 감염의 유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보통 1.1 - 1.4 g/kg 으로 섭취하고 그 중 65%는 생물가가 높은 생선, 고기, 계란류의 식품을 섭취합니다. |
---|---|
02. 에너지 | 체조직의 분해를 막기 위해 30 - 35 kcal/kg 로 충분히 섭취하며 혈액투석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소모성 증후군을 막기 위해 탄수화물, 지방, 저단백 식품 등과 같은 에너지 급원 식품을 충분히 섭취합니다. |
03. 나트륨 및 수분 |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에 있어서 나트륨 및 수분 허용량은 소변량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나트륨은 1일 2 - 3 g (소금 5 - 7.5 g), 수분량은 1일 소변량에 500 - 700 mL 정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. |
04. 수분급원 | ![]() |
05. 칼륨 | 혈액투석 시 칼륨 섭취는 1일 1.5 - 3 g 을 권장합니다. 또한 혈중 칼륨 섭취치는 투석액의 칼륨농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투석액 1L 당 1 mEq 이상인 경우에는 칼륨 섭취량이 고려되어야 합니다. |
06. 칼슘과 인 | 혈액투석 시 칼슘과 인 조절을 위해 식사조절과 함께 인산 결합제, 칼슘보충제의 사용이 필요합니다. 인 섭취는 1일 체중 kg당 12 - 17 mg 을 권장하며, 칼슘은 혈중 칼슘치에 따라 조절되어야 합니다. |